세라노틴의 증가 / 우울증 약의 원리 / 우울증과 신경줄기세포 부족 우울증 환자 현황 최근 김승희 국회의원이 공개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2018년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 78만2,037명 여성: 52만 638명 남성: 26만 1,399명 이 중 자신이 우울증에 걸린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도 많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복지부가 발표) 만 30세 이상의 우울증 발생률이 3.8% 여성: 5.6%로, 남성: 1.9% 나이가 들거나 경제적으로 하위계층일수록 더 많았다. 우울증 원인, 스트레스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우울증의 원인은 지속적인 스트레스 스트레스로 인해 뇌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이 줄어든다. --> 신경세포의 기능이 떨어진다.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을 만들어내는 ..
인재경영 / 인재를 얻는 법 / 명마를 얻는 법 / 선종외시 / 先從隗始 / 매사마골(買死馬骨), 매준마골(買駿馬骨) 천금매골(千金買骨), 죽은 천리마의 뼈를 천금에 사다 연소왕(燕昭王)(?~ BC 279년)은 제나라의 침공으로 다 무너진 직후에 즉위하여,나라를 재건하기 위해 널리 인재를 초빙하고자 곽외(郭隗)에게 그 방법을 물었다. 이에 곽외(郭隗) 선생이 말하였다. "신이 듣기로 옛날 한 왕이 있었는데 천금을 들여 천리마를 구하려 했습니다만, 3년이 되도록 구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그때 시종 하나가 왕에게 구해오겠다고 하자, 왕은 그를 보냈습니다. 석 달 후에 천리마를 구하여 왔으나 말은 이미 죽었고, 그 머리를 5백금에 사서 돌아와 왕에게 보고하였습니다. 왕은 크게 노하여 꾸짖었습니다. '..
과학이론이 완전하지 않은 이유 / 과학이론을 믿지 못하는 이유/ 완벽하지 않은 이유 / 과학 이론과 수학이론의 차이 / 완전 / 불완전 / 완벽 / 불완 과학 이론은 완전하지 않다. 출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사이먼 싱 저/박병철 역 그러나 과학이론은 수학적 증명과 같은 엄밀한 검증 과정을 거칠 수가 없다. 과학이론의 생명은 전적으로 그것을 입증해 주는 '증기 자료에 의해 좌우된다. 과학적 증명이라 불리는 모든 행위들은 관측과 지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이들은 수학적 논리에 비해 신뢰도가 많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기껏해야 대략적인 진실만을 보여줄 수 있을 뿐이다. 이 점에 대하여 버트란트 리셀Bertrand Russell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역설처럼 들리겠지만, 모든 종류의 정확한 과..
AED 작동 원리 / 심장제세동기 / 자동심장충격기 작동원리 /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ion) AED의 작동 원리 AED 는 심장을 박동시키는 미세한 생체 전류를 만든다. AED는 심실세동처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불규칙적인 전류 현상"을 올바로 잡아주는 역할 직류 방식의 강한 전류를 심장에 보낸다. --> 심근(心根)을 일시적으로 크게 수축 --> 유입되는 혈액과 전기 자극을 통해 다시 심장이 정상적으로 뛸 수 있도록 유도 갑자기 발생하는 심정지(心停止)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 '심실세동'[^1]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일명 ‘부정맥(不整脈)’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면서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현상 건강한 사..
이야기 구조의 규칙 22가지 / 픽사 이야기 구조 / 좋은 이야기 / 소설쓰기 / 좋은 글 / 좋은 컨텐츠 / 재밌는 이야기 구조 / 재밌는 콘텐츠 만드는 법 / 에마 코츠(Emma Coats)의 이야기 구조의 규칙('story basics') 22가지 픽사의 스토리 아티스트였던 에마 코츠(Emma Coats)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 구조의 규칙('story basics') 22가지를 트윗을 블로그에 정리했다.(sketches + story, 22 #storybasics I've picked up in my time at Pixar) 캐릭터의 성공 그 자체보다는 노력을 하는 부분을 더 중요시해야 한다. #1: You admire a character for trying ..
골수이식 / 조혈모세포 / 골수이식 이름 / 명칭 변경 골수이식의 명칭변경 '골수 이식' 이란 이름이 '조혈모세포 이식' 으로 변경되었다. 변경이유 최근 말초혈액, 제대혈 등 각종 혈액세포의 근원이 되는 세포를 이용할 수 있게 됨. 조혈모세포 이식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1981년부터 "골수 이식"이 시작 1995년 처음으로 "비혈연 골수 이식" 이 시행 1994년부터는 비혈연 골수기증자 사업을 위하여 한국골수은행협회와 가톨릭골수정보은행이 설립되면서 비혈연 기증자 모집사업과 이식조정사업을 시작 골수뿐만 아니라 "말초혈 조혈모세포 이식"이 임상에 도입 --> "비혈연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이 시작 1998년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대혈 이식"이 성공 "비혈연 제대혈 이식"을 위한..
책 내용정리 / 읽는 법 /읽기 /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 책과 차이 '다시, 책으로':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읽기 능력 인간이 읽는 능력을 타고나지 않았고 문해력은 호모사피엔스의 가장 중요한 후천적 성취 가운데 하나 디지털 기기를 통한 읽기의 한계 산호세 대학교 지밍 리우 교수의 연구를 인용 디지털 읽기에서는 ‘훑어보기’가 표준방식으로 작동 F자형 또는 지그재그로 텍스트상의 ‘단어 스팟’을 재빨리 훑어 맥락을 파악한 후 --> 결론으로 직행 단점 세부적인 줄거리를 기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주장의 논리적 구조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종이책이 줄거리를 시간순으로 재구성 하는 능력에 도움 종이책으로 읽은 학생 들은 스크린으로 읽은 학생들 보다 줄거리를 시간순으로 재구성하..
까먹는 것 / 추상화 망각 망각이 발생하는 경우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기억 1998년 에 발표한 논문 미국 스탠퍼드대의 앤서니 와그너 교수 단어를 처리할 때 왼쪽 하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가 낮을수록 시간이 지난 뒤 그 단어를 기억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 즉, 정보처리가 깊게 이뤄지지 않아 약하게 저장된 정보들은 나중에 더 쉽게 잊힌다는 것. 주의를 기울일 때의 기억 이때는 정보를 처리하는 뇌 영역의 활성화 정도도 달라진다. 깊게 정보를 처리할 때 왼쪽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영역에서 강한 활성화 반응 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경쟁하는 기억이 존재할 때 2015년 에 발표한 연구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마이클 앤더슨 교수 연구팀 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대일농장
- 명언
- sudachi
- 고강도
- 의학
- 미스터피자주문
- 데크에 바인딩묶기
- 무릎마사지
- icon program
- 칠오름
- 영귤
- network error
- 늙기
- 녹색농원
- 상식
- 인공눈
- 그림편집
- 인테리어
- 영귤차
- breakpoint
- 제주영귤
- icon tool
- 샤워기전
- 칠오름농장
- 스타치
- 보드고글
- 제주녹색농원
- 과학
- 편집프로그램
- 인공안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