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 쌀에대한이야기 / 쌀 스토리 / 쌀에 대한 지식 / 쌀에 대한 상식 / 쌀을 고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을 것들 / 쌀에 대해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쌀 무엇부터 먹어볼까 ? - 소믈리에타임즈, 2016-09-19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추청(秋晴) - 소믈리에타임즈, 2016-10-04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오대...강원도의 힘 '철원 오대쌀’ - 소믈리에타임즈, 2016-10-25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하이아미...기능성 슈퍼미의 대중화 ‘하이아미’ - 소믈리에타임즈, 2016-10-31 [좋은 쌀, 나쁜 쌀, 이상한 쌀] 신동진...거칠고 투박한 ‘마초(Macho)’같은 쌀 - 소믈리에타임즈, 2016-11-0..
빈혈이 있으면 커피가 좋지 않다. 전남대병원 예방의학과 신민호 교수팀 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남녀 2만7071명을 대상으로 커피·녹차 섭취 횟수와 혈중 페리틴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 커피를 많이 마실수록 혈중 페리틴 농도가 감소 페리틴은 철분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커피를 하루 세 잔 이상 남성의 혈중 페리틴 농도는 밀리리터당 92.2나노그램 여성의 혈중 페리틴 농도는 밀리리터당 28.9나노그램으로 하루 1잔 하루 1잔 미만 마시는 남성(밀리리터당 100.7나노그램) 하루 1잔 미만 마시는 여성(밀리리터당 35.6나노그램) 결과 커피의 카페인이 몸 안에서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으로 추정. 연구팀은 "커피의 과다 섭취가 혈중 페리틴 농도를 낮추는 것과..
밤에 운동 / 저녁 운동 / 숙면 / 잠에 방해되지 않는다 / 운동과 숙면 늦은밤 적당한 운동은 잠자는데 방해를 주지 않는다 조사 주체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 운동생리학연구소 소장 크리스티나 스펭글러 교수팀 조사 방법 운동과 수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기존 23개의 논문을 메타분석 분석결과 잠들기 4시간 전에 운동을 한 실험참가자들 21.2% : 숙면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 숙면을 취한 비율 : 19.9% 깊은 수면이 신체기능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둘 사이의 차이는 작아보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수치라는 설명 잠들기 1시간 이내에 하는 운동이나 격렬한 고강도 운동은 수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강도의 운동을 한 사람들은 잠자리에 누운 1시간 정도 뒤까지도 안정되지 못하고 ..
아이들이 스마트폰을 오래 봐서는 안되는 이유 스마트폰 오래 보는 아이들, 뇌 구조 바뀐다. : 동아사이언스, 2018-12-11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미국내 9~10세 어린이 4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뇌 영상 분석 결과 하루 2시간 넘게 전자기기의 화면을 보는 아이들은 "기억력"과 "언어 능력", "집중력 테스트"에서 다른 아이보다도 낮은 점수를 받는 것 하루 7시간 이상 화면을 보는 아이의 경우 대뇌피질 두께가 정상 아이보다 더 빨리 얇아지는 현상이 발견 장시간 전자기기 화면에 노출된 아이들의 대뇌피질 두께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빠르게 얇아졌지만 아직 성급한 결론을 내려선 안된다”며 “아직 정확한 원인이나 유해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탄산음료와 우울증 조사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제유진 교수팀 2017년 국제의학 데이터베이스 펌메드(PubMed)에 기록된 전세계 성인 34만7691명의 임상데이터를 분석 결과 탄산음료를 매일 1잔(180㎖)씩 마시면 차나 커피를 마시는 것보다 우울감이 2배로 높아진다는 연구결과. 몸에서 설탕을 소화할 때 나오는 산화스트레스가 피로감을 일으키고, 뇌 속에서 호르몬 분비를 교란하기 때문이라고 추정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탄산음료를 꾸준히 마시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에 무리를 주고, 췌장염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는 현상도 확인 References 탄산음료 매일 마시면 '우울감 2배'…원인은 "설탕때문", 2018-11-21
뇌가 큰 사람이 더 똑똑하지 않은 이유 / 뇌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대뇌피질의 두께가 중요하다. / 머리큰 사람이 똑똑할까? 뇌가 큰 사람이 더 똑똑한가? 모든 조건이 같다면 뇌가 클수록 기억력과 논리력이 더 좋으며 반응시간 역시 더 빠르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확인 단 그 영향은 2%에 불과 실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자유대 등 공동 연구진 대상: 만 41세 이상 성인남녀 약 1만3600명을 대상 방법: 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측정한 뇌 용적을 이들의 인지능력과 교육적 성취와 비교 분석해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기억력과 논리력, 그리고 반응 시간에 관한 검사를 시행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득할 수 있는 지식에 대해서는 검사하지 않았다. 결론 이 연구에 주저자로 참여한 기디언 네..
왜 귀여운아이는 깨물고 싶을까? / 귀여운 공격성(cute aggression) 통통한 아기의 볼을 꼬집어보고 싶거나, 귀여운 강아지를 움켜쥐거나 심지어 깨물고 싶다는 충동이 드는 것. 심리학자들의 설명 강렬하게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 뇌가 심리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정반대의 과격하고 공격적인 표현을 하는 현상이라는 게 심리학자들의 설명. 신경학자의 실험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리버사이드) 연구진은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귀여운 공격성을 분석했다. 대상: 18~40세의 남녀 54명 방법: 전극을 심은 모자를 씌워 귀여운 아기나 동물 사진을 보여주며 뇌의 활동을 분석 결론 스타브로풀로스 교수는 “한 가지 감정에 휩쓸리지 않도록 평형을 유지하려는 뇌의 활동”이라며 “귀여운 아기(후손)에 매료되기만 하는 게..
자식들에게 뚱뚱하다고 말하면 안되는 이유 / 자식을 날씬하게 만들고 싶다면, "뚱뚱하다" 놀림 받으면 진짜 뚱뚱해진다 부모들이 흔히 하는 실수는 자식들에게 자극만 주면, 자녀가 움직일 것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살을 빼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뚱뚱하다" 라는 자극을 주면 자녀가 스스로 관리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만약 자식이 정말 날씬해지기를 원한다면 그러지 말아야 할 듯 하다. 관찰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 10대 여자아이들 2400명을 대상 가족, 친구로부터 ‘뚱뚱하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지 조사. 그리고 이들의 신체 지수와 체질량지수(BMI)를 성인(19세)이 될 때까지 관찰 결과 가족들로부터 “뚱뚱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아이들 성인이 됐을 때 비만일 확률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과학
- 명언
- 인테리어
- 무릎마사지
- 미스터피자주문
- 대일농장
- 인공눈
- 상식
- breakpoint
- 의학
- 고강도
- 영귤차
- 녹색농원
- 편집프로그램
- 영귤
- 늙기
- icon tool
- 그림편집
- 칠오름농장
- sudachi
- 제주녹색농원
- 스타치
- 데크에 바인딩묶기
- 칠오름
- icon program
- 샤워기전
- 인공안구
- 제주영귤
- network error
- 보드고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