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삼성이 DLNA 프로토콜을 이용한 서비스를 하나 만들었다. 그래서 조금 들여다 보려는 UPnP 가 관여되어 있다. 그래서 이리저리 자료를 찾아보니 아래 자료가 제일 마음에 들어 링크를 걸어놓는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PC 중심의 가전기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표준을 정의한 것이다.


UPnP 의 category
DA(Device Architecture)
AVA(Audio Video Architecture)
Security Architecture
의 3가지로 분류되어 있다.


UPnP 용어
Meda Server :  멀티미디어 파일을 공급하는 장치
Media Renderer :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
Media Controller : 사용자가 목록을 보여주고 Play/Pause/Stop 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UPnP 의 사용
PC 에서 UPnP 를 사용하는 것은 ftp 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파일을 service 를 하려면 ftp 서버를 여는 것처럼, UPnP 를 사용해서 file 을 서비스 하려면 UPnP Media Server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된다. 일단 Media Server 용 프로그램은 MS의 Media Player11 같은 것이 있겠다.(자세한 것은 위의 link 에서 더 찾아 볼 수 있다.)

Media Render 프로그램은 Media Server 에 접속해서 그 안의 file 을 이용 할 수 있게 해 주는 녀석이다. 즉 ftp client 같은 녀석인 것이다. 근데 실제로 Media Render 프로그램은 많이 찾아 볼 수 없다. 아마도 UPnP가 아무래도 mac 에서 만들어 놓은 Air Play 같은 기능을 위해 만들어 놓은 protocol 이기 때문인듯 하다. 그러기 때문에 아무래도 범용적인 Media Render 는 별 의미가 없는지도 모르겠다. 여튼 link 에 보면 Mac 에서 만든 MediaCloud 가 존재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