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eb page 를 만들때 보통 image 를 사용하게 된다. 만약 많은 이미지(image)를 사용하는 웹페이지를 만들다고 한다면, 이때 2가지 방법으로 web page 를 만들 수 있다.
  1. 모든 image 들을 하나의 큰 image 로 만들어 사용.
  2. 각각의 image 들을 개개의 file 로 만들어 사용.

과연 2개의 방법중에 어느 것이 효과적인 loading 을 가능하게 할까? 아래는 대략의 내용 정리를 한 것이다.  
  1. 모든 image 들을 하나의 큰 image 로 만들어 사용.
    html 과 큰 image 한개에 대해서만 http request 를 만들기 때문에 2번째 경우보다 적은 수의 http request 를 사용하기에 request 에 대한 부하는 줄어든다.
  2. 각각의 image 들을 개개의 file 로 만들어 사용.
    여러개의 request 를 만들게 된다. 하지만 http request 에 의한 overhead 는 크지 않으며 현재의 web server 와 web browser 에서 'keep alive' 를 제공한다면 속도는 한개의 큰 image 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는 image 들을 server 에서 압축해서 보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server 의 configuration 과 Hardware 의 spec 등에도 크게 좌우하기에 두개중 어느것이 좋다라고 단정지을 수 없는 듯 하다.

그래서 제일 좋은 것은 자신이 만든 것을 test tool 을 통해 그때그때 테스트 하는 것이 정답인듯 하다.


자세한 내용은 link 를 참조하기 바란다.

아래 comment 에서 시작되는 얘기들이 훨씬 자세하고 논리적인 이야기를 해준다.

web page loading speed test tool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