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크라이나 정교회와 러시아 정교회 동방정교회와  / 동방정교회의 분열 / 러시아정교회는 왜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인정하지 않는가 / 

동방 정교회

  • 기독교는 1054년 로마교회와 동방정교회가 서로 분열
  •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가 명예상 우선권을 누리고 있다.[ref. 2]

콘스탄티노플 교회

  • 동방정교회는 지역별 독립교회로 구성되어 있는데, 콘스탄티노플(터키 이스탄불)은 동등한 가운데서도 첫 번째 교회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다.
  • 이 때문에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의 소속된 신자는 3000명이 채 안 되지만, 대표적 상징성을 누려왔다.

우크라이나 정교회, 독립교회 지위 획득

  •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의해 크림반도가 병합당한 뒤 반러시아 정책
  • 우크라이나 정부(포로셴코 대통령)는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권으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동방정교회를 상대로 로비
  • 2018년 10월 11일 바르톨로메우스 1세 총대주교 주재 아래 3일간 주교회의(시노드)후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 독립교회 지위를 부여"[ref. 4]
  •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크게 3개 교파로 나뉜다.[ref. 3]
    •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 그간 세계 정교회는 '우크라이너 정교회'만 합법으로 인정
    • 키예프 총대주교좌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교회),
    • 우크라이나 독립 정교회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은 "키예프 교회"를 합법 교회로 인정한다고 결정[ref. 3]
  • 동시에 1686년 이후 러시아 정교회가 행사해온 키예프 대주교 임명권도 박탈[ref. 3]

러시아 정교회의 반발

  • 우크라이나에 독립교회 지위를 부여한 것에 반발해서 2018년 10월 15일(현지시간) 러시아 정교회는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단절한다고 발표

  • 러시아 정교회의 이 같은 결정은 이후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의 경우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 산하의 교회에서 진행되는 어떤 성찬식, 세례식, 결혼식과 같은 의전행사에 참석할 수 없음을 뜻한다고 전했다.

  • 그동안 러시아는 고대 로마와 중세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된 이후, 모스크바가 기독교 세계의 수호자라며 '제3의 로마'를 주장

  • 동로마 제국이 건재했던 시절에는 그리스 정교회가 중심이었으며, 1453년 동로마 제국이 오스만 제국에 정복당한 뒤 정교회의 중심이 러시아 제국으로 옮겨져 러시아 정교회가 중심이 되었다.[ref. 2]

콘스탄티노플과의 관계

  • 러시아 정교회는 그동안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
  • 전 세계 14개 자치교회가 모이는 2016년 종교회의 당시에도 러시아 정교회는 의제 등을 문제 삼아 불참을 선언
  • 이외에도 러시아 정교회는 동방정교회가 로마 교황청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

References

  1. 기독교, 1000년만에 再분열 위기…'러시아정교회, 동방정교회와 단절" - 아시아경제
  2. 동방 정교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 종교로 번진 러·우크라 정치 갈등…1000년 ‘정교회’ 분열 위기 - 경향신문
  4. 러시아정교회도, 콘스탄티노플도 열받아 '큰 일'을 저지르긴 했는데, 다음블로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