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uman pheromone /페르몬 / 페르몬은 존재 하는가 / 페로몬은 무엇인가 / 페로몬이란?


페로몬 pheromone

페로몬에 대한 과학적인 이야기를 해준다. 대략적인 내용은 아래에 정리했다. 자세한 사항은 영상을 확인하자.
  • 인간이 내뿜는 모든 냄새, 그 냄새에 포함된 수천개의 분자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람이 없다. --> 그래서 인간 페로몬을 잘 설명할 수 없다.
  • 포유류는 여러가지 냄새를 갖는다. --> 누구도 어느 분자가 진짜 페로몬인지 체계적으로 확인해 보지 않았다. 그저 몇 가지만 뽑아서 실험을 해 보지만, 타당한 증거가 전혀 없다.
  • 그리고 "사람의 냄새에 대한 반응"은 문화에 의해 학습된다.

냄새를 인식하는 과정

  1. 본질적으로는, 뇌로부터 신경이 코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있는 코의 신경에 수용기관이 있다
  2. 들이마신 냄새분자가 수용기관에서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그것이 결합하면 뇌로 신경신호를 보내게 된다.
  3. 이 수용기관의 종류가 여러개이다. 사람은 약 400 종류의 수용기관을 갖고 있다.
  4. "수용기관"과 "자극을 받은 신경세포"의 조합으로 여러분이 맡는 냄새가 무엇인지 뇌가 알게 된다.
  5. 여기에 더해 사람이 갖고 있는 400종류의 수용기관은 다양한 변형(variant)이 있다. 그래서 같은 '고수' 의 냄새에 누군가는 '맛좋은 향' 으로 누군가는 '비누향'이라 느끼게 된다.
  6. 그러므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냄새의 세계가 다르다.
  7. 그 때문에 냄새에 대한 연구는 복잡하다.



페로몬의 역사

  1. 1959년에 독일 팀이 최초의 페로몬을 발견했다.
  2. 누에나방의 성페로몬이었다.
  3. 실험은 수컷에게만 자극을 주는 유일한 분자를 찾으려 체계적으로 접근
  4. 분자를 합성했고, 합성된 분자를 수컷에게 시험해서 그것이 바로 그 분자인지 반응을 통해서 어떤 분자가 페로몬인지 확인했다.
  5. 하지만 거기까지 였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없었고 체계적이지도 않고 실제 검증도 없다.



References

  1. The smelly mystery of the human pheromone, TED, Tristram Wyat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