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생아수 추이 / 우리나라 신생아수 / 연도별 신생아수 / 우리나라 인구 감소 시점




데이터 출처 : 2018년 2월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


  •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가임 여성(15~49세)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 / 연령별 출산율의 총합이며,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


인구감소 시점 2032년??, 2016년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인구감소 시점 2032년 : 통계청이 2016년 12월 발표한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한국의 인구감소 시점(중위 추계 기준)은 2032년.
  • 중위추계는 합계출산율이 꾸준히 늘어나 2040년 이후 1.38명을 유지한다는 전제로 이뤄졌다.
  • 합계출산율이 1.07명까지 감소한다는 전제로 장래인구를 추계하면 인구감소 시점은 2028년으로 4년 앞당겨진다. 
  • 합계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이동 등을 모두 최악으로 가정한 저위추계는 인구감소 시점을 2024년으로 본다.

합계출산율 1.050

  • 2017년 기록한 합계출산율이 통계청에서 구상한 최악의 시나리오보다 적었기 때문에 인구의 자연감소 시점은 더 빨라질 수도 있다.


References

  1. 전체 인구의 10% 밑으로…저출산에 보기 힘들어진 어린이
  2. 합계출산율 1.05명…10년 내 인구 줄어든다 - 머니투데이 뉴스, 2018-02-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