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실검 순위는 믿을 만 한가 / 실검순위의 조작여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실검) 순위 조작


네이버, 다음의 키워드 삭제, 제외 지침

  • 네이버, 다음 모두 
    • 법령이나 행정·사법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키워드를 실검 순위에서 제외할 수 있다는 내부 지침
  • 2012년 KISO의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마련한 규정
  • 네이버는 지난 23일 연합뉴스가 확인취재에 들어간 직후 '법령이나 행정·사법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 문구를 '법령에 의거해서 행정·사법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로 이미 수정했다고 25일 오후에야 뒤늦게 밝혔다.[ref. 1]

네이버의 자동완성, 연관검색어 제외

  • 자체판단
  • 이용자 신고
  • 대학이나 기업 등의 요청으로 특정 키워드를 제외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검증위원회의 보고서

  • 네이버 :
    • 네이버는 다음과 달리 노출 검색어 제외에 관한 외부 검증을 받는다.
    •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 2016년 1~5월 임의로 제외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 1,408건(하루 평균 9건)
      • 제외한 검색어 : 다음과 같은 문제로 분류된 단어들
        • '개인정보 노출'
        • '명예훼손'
        • '불법·범죄'
        • '상업적·의도적 악용'
        • '서비스 품질 저해'
        • '성인·음란성'
    • 자동완성·연관 검색어
      • 2016 년 3∼5월 제외한 자동완성·연관 검색어 : 총 11만9천317건(하루 평균 1,300개)
      • 연관 검색어
        • 신고로 삭제: 7259건
        • 자체판단으로 삭제: 32,343건
      • 자동완성 검색어
        • 신고로 삭제 : 935건
        • 자체 판단으로 삭제 : 78,780건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 = 인터넷 사업자들이 2009년 업계 이슈를 자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출범한 단체. 네이버는 2012년 노출 검색어 조작 논란이 벌어지자 이 단체에 검증을 맡기기로 했고, KISO가 구성한 1기 검증위원회는 2013∼2014년 네 차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2차 검증위원회는 올해 4월에 구성됐으며 12월 19일 첫 보고서를 발표했다.[ref. 1][see also. 1]


See Also





References

  1. 네이버·다음 실시간 검색어 '정부요청시 삭제' 조항 확인, 2016-1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