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국 세척당근은 괜찮은가 / 중국 세척당근 / 중국 세척당근이 좋은가 / 좋은 점 / 나쁜점 / 세척당근에 대한 오해와 진실


중국의 세척 당근 자료

중국산 세척당근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마땅히 없었는데,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에서
2013.04.01.~2013.04.03 에 중국 샤먼(하문)지역에 가서 당근 생산, 수출 실태조사를 한 내용이 있어 올려놓는다. 파일은 아래 링크에 가서 받으면 된다.

아래는 위의 자료를 정리했다.

개인적으로 이 내용은 면담을 통해 이뤄진 것이며, 관련자와의 인터뷰 등을 통해 얻은 자료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좋은 말들만 있긴 한 듯 하다.

하지만 그래도 중국 세척당근이 별로 일 것이라는 생각에서는 좀 벗어나게 된다.

여하튼 판단은 각자가 하도록 하자.

pdf 에는 사진도 있으니, 사진을 보고 싶으면 원본을 확인하자.




중국의 당근 산업

중국의 당근 집단농장 지역

  • 산동성 : 
    • 3월 파종, 6월 수확 / 1년 2모작
    • 수출이 가장 활발함
  • 복건성(하문) : 
    • 9~10월 파종, 이듬해 2월~5월 수확 / 1년 1모작
    • 당근 재배면적은 3,300ha, 총생산량은 240,000톤
    • 총생산량의 60%는 수출, 40%는 중국내 내수용
    • 산동성 다음으로 수출이 활발
  • 내몽고 : / 1년 1모작
  • 하북 : / 1년 1모작 

4개 지역에서 집단농장을 구성


하문지역 당근 재배 정보

  • 면담자 : 중국인(조선족) 당근 생산 및 수출업자(이주홍)

  • 기후 : 1년 내내 온화한 기후 / 토양 : 마사토 / 
  • 천연적인 당근 재배 적지 --> 현지 당근재배에 있어서 별다른 비료를 주지 않음.
  • 기계화율은 낮음
    • 농촌 가정에 소를 키워 쟁기질
    • 또는 사람이 일일이 쟁기질
    • 거름(소거름)시비
    • 정부에서 권장하는 화학비료 시비, 농약살포만을 함.
  • 필지별 면적이 대부분 300평~500평 규모로 계단식처럼 이어진 농경지가 대부분
  • 우물을 이용한 관수시설이 포장마다 설치
  • 정부가 농가 1명당 1필지를 무상으로 임대
  • 생산비(종자, 비료, 농약, 관리비 등을 포함) 는 평년기준 200평당 7~8천원(원화, 2013년)
  • 하문지역 당근 품종 : 일본산 종자(슈퍼베타)가 90%를 차지
  • 종자가격 : 1캔당 50만원 이상
  • 당근 수확은 파종후 140일 경과 후 수확.
  • 일반적으로 재배기간이 120일 내외이나 품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140일 경과 후 수확
  • 고온의 기상조건 하에서는 전날 관수를 하고 아침 일찍 수확후 당일 세척장으로 운반 및 세척되어 일련의 공정이 마무리 됨.


당근 자동화 세척공장

  • 면담자 : 현지 협력업체 직원

중국내 세척시설 종류

  • 소형세척시설
  • 대형 유한회사

소형세척시설

  • 산지 유통인이 운영
  • 하문지역에만 400여개 업체

대형 유한회사

  • 전문적으로 세척과 수출을 주도.
  • 하문지역에만 40여곳
  •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 정보 교류는 물론 유통과, 수출 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져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
      • 최근(2013년) 회사별 수출시장 독점을 위한 경쟁 과열로 당근 수출 수익은 감소
        • 100평 이상의 시설 / 보통 2조의 세척 시설이 설치
          • 인원 : 100여명
            • 수출 국가별로 분업화 / 수출국가별로 선별작업
              • 선별은 2단계로 이루어짐
                • 크기별로 각 나라별 수출 규격에 맞는 선별
                • 포장상자에 선별 포장


              당근 수입업자와의 인터뷰

              •  면담자 : 한국 수입유통업체 (주)부광 대표 면담
              • 중국 당근은 수출용뿐만 아니라 내수용 또한 전량 세척당근으로 유통됨.
              • 당근 세척시설, 당근 저장시설은 우리나라 보다 앞서있다.
              • 대형 유통시설을 구비한 업체에는 2,000톤이 넘는 저장시설이 보유. 4층 건물이 전부 저장시설로 운영되고 있었음.(위의 대형 유한회사인듯 하다)

              오래 신선한 상태로 저장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

              1. 유지하기 위해 세척시설 단계에서 저온수로 냉각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2. 포장된 당근은 다시 예냉실을 거쳐 저장시설로 운반되어 장기 저장이 이루어짐. 
              3. 저장시설내에서도 일정(적정) 물량 보관을 통해 골고루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

              수출국

              1. 일본
              2. 호주
              3. 러시아
              4. 영국
              5. 프랑스
              6. 미국
              7. 캐나다
              8. 브라질 
              등 전 세계 당근 소비국으로 수출이 이루어짐
              • 수출 상품별로는 가장 큰 것(3L)은 캐나다에 수출
              • 그다음 품질(2L)은 한국을 비롯해 10kg 상자에 포장되어 수출. 
              • 한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전체 수출물량 가운데 8% 가량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