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용등급에 관한 오해와 진실


금융 감독원에서 개인의 신용평가와 관련된 팁을 공개했다. 아래는 그 내용을 정리했다.


개인 신용평가 반영 요소

긍정적 반영 요소

긍정적 반영요소의 핵심은 이사람이 돈을 잘 갚는 사람인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1. 대출금 상환이력 : 연체없이 성실히 상환
  2. 신용카드 사용 금액 및 기간 :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로 결제하고 연체없이 상환
  3. 연체상환 및 연체상환 후 경과기간
    • 연체된 대출금을 상환하면 신용평점이 올라간다.(신용등급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 연체가 여러 건 있는 경우 연체금액이 큰 대출보다, 연체가 오래된 대출을 먼저 상환하는 것이 신용등급 회복에 유리
      --> 이부분은 재미있다. 일정기간이 지난 연체내역은 상환할 의무가 사라지기 때문에 아무래도 오래된 대출을 먼저 상환하라고 하는 듯 하다. 그리고 연체기간이 길 수록 신용평가에서도 오래도록 이 실적을 반영한다(아래 부정적 반영요소 참고)
  4. 통신·공공요금 성실납부 실적 : 통신 ․ 공공요금 등을 6개월 이상 성실하게 납부한 정보를 신용조회회사에 제출하면 신용평가시 가점을 받을 수 있다.

부정적 반영요소

부정적 요소는 당연히 긍정적 반영요소의 반대부분이다. 즉 돈을 갚지 않는 모습을 보면 신용을 낮추게 된다. 그리고 돈을 갚지 않을 가능성이 큰 상황, 즉 대출금이 많거나 대출건수가 만은 경우에 신용평가가 나빠질 수 있다.
  1. 대출금 연체
    • 10만원 이상의 금액을 5영업일 이상 연체하는 경우, 신용조회회사에 연체정보가 수집 --> 등급하락될 수 있다.
    • 연체기간이 길수록 장기간(상환 이후 최장 5년간) 신용 평가에 반영.
  2. 대출금액 및 대출건수 증가
    • 대출금액 및 대출건수가 많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대부업체나 제2금융권 대출 : 신용조회회사는 과거 통계적 분석 결과 산출된 금융업권별 연체율을 신용평가에 반영. --> 대부업체나 제2금융권은 이자부담이 크기 때문에 신용점수가 좋지 않다.
  4. 과도한 현금서비스 이용 : 일정기간, 일정금액 이상 이용하게 되면 부채의 증가로 본다. -->  과거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 현금서비스 이용자의 연체율이 미이용자의 연체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신용등급 관련 잘못알고 있는 사실

  1. 신용조회기록과 신용등급.
    • 과거에는 신용조회기록이 신용등급에 영향을 준 적이 있으나 2011년 10월부터는 신용조회사실이 신용평가에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
  2. 소득, 재산과 신용등급은 관련이 없다.
  3. 신용카드 보유 개수와 신용등급은 무관하다.
  4. 연체상환을 해도 신용등급이 바로 좋아지지는 않는다.
  5. 금융거래가 없으면 신용도를 판단할 근거가 없다. 그래서 통상 중간등급인 4~6등급을 받는다.
  6. 신용조회회사(CB; Credit Bureau) 마다 아래 사항이 달라서 같은 사람에 대한 신용등급도 다를 수 있다.
    - 수집하는 정보의 범위
    - 정보의 보유량
    -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요소
    -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비중
  7. 금융회사 종류(은행, 저축은행, 대부업체)에 상관없이 연체금액, 연체기간에 따라서 신용평가시 불이익이 발생한다.
  8. 통신요금의 연체는 신용평점과 관련 없다.
  9. 휴대폰 단말기 할부대금은 관련이 있다.
    • 휴대폰 단말기 할부대금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대지급정보가 등록되어 신용평가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10. 금융회사가 대출 여부를 판단할 때는 신용등급만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금융회사는
    - 신용조회회사에서 평가하는 신용등급
    - 개인의 거래기여도
    - 직장
    - 소득
    - 정성적인 평가
    등을 감안 하여 대출여부 등을 결정

자신의 신용등급 알아보는 법

각 신용조회회사(CB)에 가서 자신의 신용등급을 알아볼 수 있다.
무료 조회는 4개월에 1번이다. 이 이상 보려면 돈을 내야 한다.

신용조회회사 사이트

  1. 나이스:「나이스지키미」(https://www.credit.co.kr), 
  2. KCB:「올크레딧」(http://www.allcredit.co.kr),
  3. SCI평가정보 「싸이렌24」(http://www.siren24.com)




References

  1. 금융꿀팁 200선 - (23) 내 신용등급 올리기 노하우(2) : 개인신용평가 반영요소 바로알기 상세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