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방사선량을 어떻게 정량화 하는가?
흡수선량
생물학적 영향의 빈도나 강도는
연조직이나 장기의 "단위 질량(kg)" 당 "흡수된 총 에너지(J)"에 의존한다.
이 양을 흡수선량이라고 부르고 그레이(Gy, gray)나 밀리그레이(mGy) 로 표현한다.
1Gy 는 1J/kg 과 같다.[ref. 1]
좀 풀어서 이야기하면, '방사선' 이 강한지 약한지를 수치로 나타낼 때는 이 '방사선'을 에너지(J) 로 표현한다. 그런데 이 방사선을 쪼이는 대상이 생물이기 때문에 생물의 질량(kg) 에 대해서 계산한다.
질량으로 계산하는 이유는 방사선의 투과성 때문일 듯 하다. 방사선의 투과하는 성질로 물체의 겉표면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 ref. 1" 에 나오지만, 이 방사선이라는 것이 쪼인다고 전부 몸에 흡수되지는 않는다. (어느정도는 그냥 몸을 통과한다.)그래서 '흡수된 총 에너지' 로 표현하는 것이다.
유효선량(effective dose)
이 녀석은 '흡수선량' 과 같은 개념이지만 좀 다르다.
이 '유효선량' 은 "인체"에 "부분적"으로 방사선을 쪼였을때, 이 방사선이 이 생물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위에서 이야기한 '흡수선량' 은 아래사항에 대한 고려가 없다.
- 객체별 방사선의 대한 민감도
- 객체별 흡수선량의 차이
그래서 사람 몸에 대해서 "각 장기(organ) 별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 + "각 장기별 흡수선량의 차이" 등을 계산해서 만든 값이 "유효선량" 이다.
- 유효선량
- 장기마다 가중치를 준 선량(weighted organ dose)의 합
- 사람 몸의 한부위에 방사능이 쪼이면, 이 방사선이 몸 전체에 얼만큼 흡수 됐는지를 알려준다.
단위
시버트 (Sv, sievert) 나 밀리시버트(mSv) 로 표현하며 1Sv 는 1J/kg 과 같다.
한계
이 '유효선량'은 진단학 분야(x-ray 같은 진단을 위한) 에서만 쓰이고, "방사선 치료" 에서 "유효선량" 으로 쓰일 수 없다.
방사선 치료에서는 매우 많은 방사선을 쪼이기 때문에 "방사선 양이 많아지는 만큼 위험이 증가한다"라는 가정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ref. 1]
이것은 어느 한도까지는 방사선을 많이 쪼일수록 몸이 더 안좋아지지만, 어느 한도를 넘어가면, 더 많이 쪼인다고, 더 많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이미 버린몸.ㅜㅜ)
이 값은 언제 쓰일까?
이 값은 "진단방사선학", "핵의학" 등에서 사용된다.예를 들어 우리가 x-ray 같은 것을 쪼였을 때, 이 방사선이 우리 몸에 얼마나 많이 흡수되는지를 잘 파악해야 우리몸에 영향을 얼마나 주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이 값을 사용하는 것이다.
ICRP 의 발행물
- 링크 : ICRP: Annals of the ICRP
- 대부분 영어이지만, 몇몇은 Korean.pdf(한글 번역본) 이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의료기기에서도 방사선을 사용한다. 관련해서 2006년 자료이지만, '국제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 에서 내놓은 자료가 있다. 한 번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방사선과 당신의 환자: 의료인을 위한 지침 - ICRP, 2006
방사선과 당신의 환자: 의료인을 위한 지침 -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 : http://www.icrp.org/docs/SG02_Korean.pdf, 2006년목차
방사선과 당신의 환자 의료인을 위한 지침요지
1. 이 자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2. 의료에서 전리방사선 사용은 보건에 유익한가
3. 의료에서 전리방사선 사용에 따르는 위험이 있는가
4. 방사선량을 어떻게 정량화하는가
5. 방사선으로 유발된 생물학적 영향의 본질 기전 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6. 방사선 영향들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6.1 결정적 영향
6.2 확률적 영향
7. 암과 유전적 영향 위험의 크기는 얼마인가
8. 의학적 진료 외에 다른 선원으로부터 전리방사선 피폭이 있는가
9. 의학적 진단 절차의 전형적 선량은 어떠한가
10. 진단 이익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방사선량을 관리할 수 있는가
11. 진단 방사선 검사를 피해야 할 상황이 있는가
12. 특별한 정당화가 필요한 특수 진단절차가 있는가
13. 진단 절차에서 아동과 임산부는 특별히 고려해야 하는가
14. 진단절차 수행에서 방사선위험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
15. 치료방사선에서 방사선위험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
16. 임신 여성이 방사선치료를 받을 수 있는가
17. 방사선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위험한가
18. 추가 정보자료원
의료영상화에서 진단 참고준위
요 점
1. 서 론
2. 기존 ICRP 지침
3. 의료영상화에서 참고준위의 검토
4. 기저 고려사항
5. 참고준위에 대한 ICRP 제 3분과위원회의 추가 조언
5.1. 진단 참고준위의 목적
5.2. 진단 참고준위의 이용
5.3. 정의와 예시
5.4. 형광투시 안내 중재적 절차에 대한 조언
5.5. 진단 참고준위 설정에서 현장 융통성
참고문헌
Reference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의학
- 제주녹색농원
- sudachi
- 스타치
- 인테리어
- 대일농장
- breakpoint
- 데크에 바인딩묶기
- 녹색농원
- icon tool
- 고강도
- network error
- 칠오름농장
- 상식
- icon program
- 과학
- 명언
- 늙기
- 영귤차
- 인공눈
- 미스터피자주문
- 무릎마사지
- 제주영귤
- 보드고글
- 칠오름
- 인공안구
- 편집프로그램
- 그림편집
- 영귤
- 샤워기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