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VoLTE vs 3G

결론 부터 이야기하자면, 개인적인 의견은 수도권이외의 지역에 산다면, 또는 시내가 아닌 외곽에 산다면 data 는 모르겠지만, 음성은 3G 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ref. 1, 2 를 보면, 2015년 부터  LTE 요금제를 가입하고, 자신의 단말기가 LTE 를 지원한다면 VoLTE 를 사용할 수 있다.

VoLTE 설정 끄기

아마 LTE 요금제의 기본 단말은 VoLTE 를 사용하도록 핸드폰에 설정이 되어 있는 듯 하다.[ref. 5]
아래 글에서 VoLTE 설정을 끄는 법을 알 수 있다.




왜 VoLTE 보다 3G 를 사용하는 것이 나은가?

왜 3G를 사용하라고 얘기할까? ref. 4 에 적절한 답이 나와있다.
 VoLTE로 통화하다가 품질이 떨어져 접속이 불안하거나 혹은 이동중에 아예 LTE망이 끊어지고 3G만 되는 지역으로 넘어가면 3G 서킷망에 접속해 통화를 끊김없이 이어갈 수 있다. 지금은 VoLTE로 통화하다가 LTE망이 불안하면 전화가 끊어진다.[ref. 4]
...
VoLTE처럼 패킷망에서 돌아가는 음성통화가 자리잡으려면 LTE 음영 지역이 없어야 하고 그 영역 안에서 충분한 데이터 속도는 물론이고 중간에 0.1초라도 끊어짐 없이 매끄러운 전송이 이뤄져야 한다. 이 품질 유지가 어려우면 어떻게 될까. 지금의 VoLTE는 통화를 끊는다. 아니, 끊어진다. 그래서 VoLTE가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전화를 끊지 않고 3G로 음성통화를 연결해주는 핸드오버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라고 부른다. 망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LTE를 이용한 VoLTE 음성통화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꼭 필요한 기술이다.[ref. 4]

VoLTE 의 숙제

LTE 를 이용한 VoLTE 가 3G 와 비슷해 지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3G 망 만큼 LTE 망이 빽빽히 깔려야 한다.(모든 곳을 커버해야 한다.)
  2. 한 지역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은 기지국에 달려있는데, 그 지역에서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즉, 많은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면, 처리가 늦어져서 버벅이게 된다.)
    --> 이 부분은 3G의 음성은 회선(circuit) 방식이고, VoLTE 는 패킷(packet) 방식이라서 그렇다.[ref. 7] 풀어서 설명하면,
    예전에는 크리스마스 등에 사람이 붐비는 곳에 가서 전화를 하면, 전화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현상이 3G 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LTE 에서는 전화가 안되는 현상은 줄어들겠지만, 사람이 많을 수록 음성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정된 처리능력을 많은 사람이 돌아가면서 쓰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3G 음성을 쓰는 것이 조금 덜 선명할 수는 있지만, 끊기는 경우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음성' 부분에 있어서는 VoLTE 보다는 3G 가 더 낫다.


Coverage map

  1. SKT 커버리지맵
  2. KT 커버리지 맵
  3. LG U+ 커버리지맵


References

  1. HD 보이스 프로모션 종료 및 정식 서비스 시행 안내, 올레 닷컴, 2015-07-28
  2. [안내] HD보이스 정식 서비스 시행 안내, T world, 2015-06-02
  3. VoLTE 서비스 4가지가 궁금해…, 한국경제, 2012-06-22
  4. “VoLTE 끊어지면 3G로 음성통화”…LG전자 상용화, 2013-02-11
  5. VoLTE - 나무위키
  6. HD보이스, VOLTE 통화 설정 방법이 궁금합니다. - 삼성전자서비스
  7. [알아봅시다] 서킷통화와 패킷통화 - 디지털시대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