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누진 공제액 / 누진 공제액 계산법 / 누진 공제액이란


누진 공제액에 대해 알아보자. 자세한 내용은 ref. 1 에서 확인하자. 여기서는 간략하게 개념을 이해하는 쪽으로 설명을 한다.



누진 공제액의 목적

누진 공제액은 단순히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녀석이다. 그러므로 굳이 알려고 애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알면 누진세가 적용된 세금등의 계산을 조금 쉽게 할 수 있다는 것 뿐이다.



누진 공제액이 쓰이는 때

누진세에 보면 누진 공제액이라는 것이 보인다. 이것은 특별히 무엇을 공제해 주겠다는 것은 아니고, 세금 계산을 좀 손쉽게 하라고 미리 계산해 놓은 값이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보자. 

20억의 소득이 있는 사람이
1~10억원 : 10% 
10억 ~ 20억 : 20%
인 소득세에 대한 계산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먼저 아래 그림을 보자.

 첫 그림은 누진세를 계산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리고 2번째 방법은 누진 공제액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 보자. 누진세는 금액별로 다른 세율을 적용받는다.

위의 그림처럼 
10억 은 10%의 세율을 곱해서 계산하고,
나머지 10억은 20%의 세율을 곱해서 계산해야 한다.

세금1 = 소득 10억 X 10% 
세금2 = 소득 10억 X 20% 
세금 = 세금1 + 세금2

이런 식의 계산이 조금 번거롭다. 그래서 계산을 좀 더 쉽게 하게 해주고자, 누진 공제액이라는 것을 만든 것이다. 누진 공제액을 이용하면, 그냥 최고 세율을 곱하고, 누진 공제액을 빼주면 된다. 그러니까 20억에 대해 20% 의 세율을 곱하고 거기서 누진 공제액을 빼면 된다.
세금 = 소득 X 20% - 누진 공제액



Reference

  1. 누진공제액의 개념과 산출방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