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경성형술의 효과 / 원리 / 방법 / 비용 / 신경성형술이 기존의 수술보다 나은 점 / 신경성형술의 단점 / 신경성형술의 장점
아래의 얘기는 기존의 자료와 그로 인한 필자의 판단이 조금 섞여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간 편향적으로 보이는 글은 알아서 걸러서 읽어주길 바랍니다.
신경성형술
신경성형술(Neuroplasty, Epidural Adhesiolysis)
- 신경유착박리술(Epidural Adhesiolysis)
- 2005년 처음 소개 됐다.
- 카테터를 이용해서 치료,
- 신경유착을 제거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시술
- 신경을 건드릴 수 있어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하다. 5분 안에 시술을 끝낼 수 없는 이유다.
- 신경성형술은 허리디스크 환자의 통증 원인을 '척추신경 유착' 때문이라고 보고, 막힌 혈관을 뚫는 데 쓰는 '카테터'를 꼬리뼈를 통해 삽입해 유착을 풀어주는 방식의 치료법이다.[ref. 2]
- 신경성형술 동영상은 업체에서 만든 홍보영상일 뿐이지 의학적 근거가 없다고 한다.[ref. 1]
여기에 더해 한 학회의 의견은 아래와 같다.
대한마취통증학회[ref. 1 의 23:30]
- 일부 병원에서 신경성형술이 오남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신경성형술은 신경차단술(아래 "신경차단술" 참고) 과 수술까지, 기존의 모든 치료를 해보고도 소용이 없는 환자들에게 해 볼 수 있는 치료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최후에 해야 하는 치료라고 해서 그것이 좋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 아니다. 단순히 아직 명확하게 효과나 부작용 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후의 방법으로 놓는 것이다.
신경성형술 vs 신경차단술(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ref. 7 에서 신경성형술에 대한 설명을 보니,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과 같은 것 처럼 보인다. 단지, 신경차단술은 lumbar approach 이고, 신경성형술은 caudal approach(미추 경막외 주사법[ref. 4]) 의 차이를 가지는 듯 하다. 다른 말로 하면, 허리에서 바늘을 찌르느냐[ref. 5], 꼬리뼈에서 바늘을 찌르느냐(물론 바늘은 아니지만) 의 차이 같다. 이 차이로 인해 효과나 안정성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 듯 하다.
하지만, 이름을 다르게 부르는 이유가 있을 듯 하기에 확신할 수는 없다.
일단 ref.7 에서 "신경성형술"에 대한 설명을 보자.
Neuroplasy, Epidural Adhesiolysis[ref. 7]
상처 또는 염증 또는 척추 수술 후에 반흔 조직(scar tissue) 이 생성된다.
튀어나온 디스크(slipped disc) 가 주변의 조직을 괴롭힐 수 있고 유착 또는 상처를 유발한다.과도한 반흔조직(excessive scar tissue) 가 신경을 눌러서 염증 또는 통증을 유발 하기도 한다.
신경성형술(신경 유착박리술)은 epidural space 에 있는 과도한 반흔조직(excessive scar tissue) 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제거하는 시술(procedure)이다.
신경유착
그리고 신경성형술에서 디스크의 원인이라고 규정하는 신경유착에 대해 알아보자.
신경유착 : 일반적으로 수술 후 조직반응에 의해 신경막과 주변의 척추뼈, 디스크, 인대 등이 서로 엉켜 붙는 것으로 수술을 하지 않은 환자에겐 이런 유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단, 이런 이후로 이전에 수술을 한 적이 없는 경우라면, 신경유착에 의해 허리통증이 발생할 이유가 없는 듯 보인다.
부작용
학회에 알려진 주의사항
- 기구 삽입으로 인한 합병증
- 경막외 공간에서의 출혈
- 카테터의 비틀림
- 바늘 주위의 감염
- 지주막염
주입되는 약물로 인한 합병증
- 일시, 영구적 감각이상
- 장 및 방광기능 장애
- 성기능 장애 등
척추수술 전문의 견해
서울 아산병원 정형외과 이춘성 교수
- "척추 수술을 많이 하고 성공률이 어떻다고 자랑하는 병원은 일단 의심하면 된다. 허리디스크의 8할은 감기처럼 자연적으로 낫는다. 수술 안 해도 좋아질 환자에게 돈벌이를 위해 수술을 권하는 것이다. '획기적인 새로운 시술법'치고 검증된 게 없다. 보험 적용도 안 된다. 결국 환자 입장에서는 돈은 돈대로 버리고, 몸은 몸대로 망가진다."
- 질문 : 그쪽 의사들의 반발을 어떻게 감당하려고 하느냐? 한때 한 척추 전문 병원이 소송을 제기했다가 취소한 것으로 안다.
답변 : "그런 새로운 시술법을 팔아먹는 쪽에서는 내게 '당신이 해봤느냐. 안 해보고서 왜 떠드느냐'고 한다. 도둑질이 나쁘다는 것은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서 아는 것이지, 꼭 직접 해봐야 나쁜 줄 아는가. 이런 시술은 보험 적용 대상이 되는 순간부터 횟수가 뚝 떨어진다. 요즘 무릎관절 치료에서 자기 피를 뽑아 주사하는 'PRP 주사'가 난리다. 내 전공은 아니나 대학병원의 전공의사들과 얘기해보면 이 역시 전혀 검증이 안 됐다."- 질문 : 새로운 시술법을 부정하면 고전적인 방법이 늘 옳은가?
답변 : "의료 행위는 인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과학적인 검증 과정이 몹시 중요하다. 어떤 치료법이 행여 몇몇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고 전체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위험하다. 척추 수술은 현미경을 보면서 손으로 하는 것이다. 획기적인 방법으로 좋아질 환자라면 당초 수술을 하지 않아도 좋아질 환자다. 다시 말해 그건 불필요한 수술이고, 차라리 안 하는 게 맞는다."
참고사항
신경차단술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신경차단술"은 "신경성형술"과는 다르다. 그리고 허리 통증과 관련된 사항으로 봐서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epidural steroid injection) 을 말하는 듯 하다. epidural steroid injection 에 대한 내용은 ref. 4 를 참고하고, ref. 5 에서는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nerve block, spinal intervention)
- 카테터(catheter) 보다 안정성이 검증되었고,
- 비용도 저렴하다.(건강보험 급여, 약 5만원)
디스크 (추간판탈출증) 에 대한 한 의사의 견해
김동준, 이화여대 부속 목동병원 정형외과 교수
-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이라고 하는 것이 단순한 보존적 요법에도 굉장히 잘 낫는 그런 병이고 그걸로 인해서 무슨 하지 마비가 되거나 수술로 가야 되는 경우는 10에 1, 100에 5정도 밖에 안 되는 그런 굉장히 얌전한 병이라고 하는 사실.
- 다리가 저린 증상이 나타나야지 우리가 허리디스크라고 얘기를 하는데 그런 상태가 일단 아니어서 우리가 곧 "수술해야 한다. 말아야 된다" 라고 하는 그런 상태 또한 아니에요.
See Also
Reference
- 병원이 알려주지 않는 진실<제 1편> 위험한 열풍 - 척추 비수술 요법, 추적60분, 2013. 5월 18일
- 의사들의 고백 "신경성형술-PRP 치료 효과의문", 최은미, 2011년 11월 3일, 머니투데이
- http://isomerclinic.com/spine-care-epidural-adhesiolysis.html
-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경막외 신경차단술)에 대하여, 2009. 6월. 25
- Epidural steroid Injection, EBSCO
- epidural steroid injection (ESI)
- spine care epidural adhesiolysis, isomerclinic
- Comparison of the caudal and lumbar approaches to the epidural space, 2000년, 4월 10
- Total
- Today
- Yesterday
- 칠오름
- 상식
- network error
- 제주녹색농원
- 스타치
- 대일농장
- 영귤차
- 영귤
- 그림편집
- 무릎마사지
- 제주영귤
- 미스터피자주문
- 의학
- 인공눈
- 고강도
- icon program
- sudachi
- breakpoint
- 편집프로그램
- 과학
- 늙기
- 인테리어
- 칠오름농장
- icon tool
- 데크에 바인딩묶기
- 녹색농원
- 보드고글
- 샤워기전
- 인공안구
- 명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